반응형
PDCA는 Plan, Do, Check, Act의 앞자를 모아놓은 단어로 Dr. W. Edward Deming이 고안한 품질 관리를 위한 방법이다. 그러나 PDCA는 품질 관리 뿐 아니라 자기 개발이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 계획 (Plan) - 변화를 위한 사전 계획과 결과 분석 및 예측
- 실행 (Do) - 통제된 상황에서 작은 조치를 취하며 계획을 실행
- 확인 (Check) - 결과를 분석
- 조치 (Act) - 개선을 위한 행동
PDCA는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품질에 대한 통제와 향상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일본 히트를 친것으로...
흔히 일본에서 말하는 카이젠(改善·개선) 과도 관련이 있다.
And ......
PDCA는 실제로 적용하기 쉬운 구조로 반복되는 특성이 있는 여러가지 상황에 적용이 쉬울 것 같다.
PDCA의 장점은 일상적인 관리, 문제 해결, 지속적인 개선 ... 등등이 있다.
But ....
땅콩이 열번 구르는 것 보다.. 호박이 한번 구르는 것이 낮다라는 말이 있듯이..
꾸준한 개선은 필요하지만... 개선은 기존의 것을 향상시키는 정도다..
무엇인가 판을 바꾸기 위해서는 개선이 아닌 개혁이 필요하다. (갑자기 과격해지는 느낌이....)
[출처] PDCA (The Deming Cycle)|작성자 resious
http://blog.naver.com/resious?Redirect=Log&logNo=300981476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