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와
SMS(System Management System)
그리고 EMS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요즘 용어가 많이도 나와 생소 할 수도 있는 용어 들입니다.
간략히 정리를 해보고 가겠습니다.
NMS, SMS, EMS 는 관리하는 시스템들의 분야들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관리를 위해 통합 솔루션들이 다양한 진화를 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관리의 분야를 두가지 포인트에서 접근을 해보고자 합니다.
모니터링 시스템과 관리 시스템로 볼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집니다.
첫번째 : 시스템 작동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서 시스템을 유지하는 분야
두번째 : 시스템 해킹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을 하는 분야
세번째 : 웹로그 같은 현재 서비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분야
이며 피동적이고 정적이면서 누적된 통계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보고 있는 웹로그 분석기, 또는 MRTG 등의 그래프가 이에 해당합니다.
관리 시스템은 위의 모니터링을 이용해서
상황을 조치하거나 시스템 장애 사항을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즉시적인 활동을 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능동적인 방화벽 같은 시스템의 경우 자동으로 패킷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또 대량의 스팸 메일을 처리하기 위해 자동으로 특정 주소에서 발송되는 메일을 블로킹하는
시스템들을 예로 들수가 있습니다.
NMS 란 무엇인가 대충 이해가 되실겁니다.
NMS는 네트웍 기반의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관리를 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시스템 관리를 하다보면 트레픽을 모니터링하고 장애상황을 알려주고 네트웍 자원을 관리 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소규모부터 대형 네트웍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범위에 이용 됩니다.
SMS (System Management System) 는 NMS를 좀더 세분화 한것으로
네트웍 모니터링과 더불어 시스템의 상태를 서버별로 확인하고 관리 하는 시스템입니다.
각 시스템의 트레픽과 서비스 구동 상태 그리고 서버의 성능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로그를 정리하여 통계자료를 통해서
다양한 전산자원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하는 것이 시스템관리시스템(SMS;System Management System)의 역할이다.
EMS 는 SMS와 NSM를 연계하여
네트웍 부터 시스템의 리소스를 전사적으로 관리 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을 말합니다.
기존의 시스템 관리 솔루션들은 과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타베이스,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등 개별 IT자원의 장애관리 기능 정도였지만
EMS는 기업의 비즈니스 안정성을 확보하고, 비즈니스 가치를 높이고
전산자원 배분의 최적화를 위한 로드맵을 구성하여, IT비용 절감 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주로 대형 네트웍을 이용한 백업과 재난 복구 시스템, 스팸 및 바이러스 방역, 해킹방지 시스템등
종합적인 기능을 통해서 내부 보안과 서비스 관리가 강화된 시스템들이 이에 속합니다.
출처 : http://couplewith.blog.me/60008225799